치료자 TALK | 교육/워크샵 | 출간서적 | READ 마음 |
[마감] 2021 마음과 마음 식이장애 클리닉 워크샵 <식이장애 치료의 ABC 그리고 D> | |
---|---|
by 운영자 | Date 2021-07-01 00:00:00 | hit 690 |
< 식이장애 치료의 ABC 그리고 D >
안녕하십니까?
마음과 마음 식이장애 클리닉은 1995년부터 지금까지 식이장애를 전문으로 치료해온 기관입니다. 지난 27년 동안 저희 클리닉에서는 식이장애와 관련된 새로운 치료기법들을 도입하여 임상에 적용해오면서 많은 수정과 보완을 거듭해왔고 인지행동치료, 변증법적 행동치료, 트라우마 치료, 자아상태치료 등을 포함하는 개인치료, 가족치료, 집단치료 등을 통합적으로 진행해 왔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식사장애(섭식장애)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총 40,059명으로, 2015년 6,873명에 비해 2019년 8,846명으로 28.7% 증가하였고, 같은 기간 남성은 7,561명(18.9%), 여성은 3만2,498명(81.1%)으로 여성 환자가 4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식이장애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가 늘어나면서 많은 상담센터나 정신과 외래에서 자주 이러한 환자들을 만나게 되지만, 대부분의 임상가들은 그 치료에 있어서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동안의 임상 경험에서 저희가 얻은 중요한 결론은 식이장애가 단순히 음식이나 체중만의 문제가 아니라, 어린 시절부터 누적된 크고 작은 상처들에 의한 문제, 가족의 문제, 대인관계의 문제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식이장애는 잘 들어주고 공감해주는 전통적인 정신치료나 일반적인 약물치료만으로 쉽게 해결되지 않기 때문에, 치료자는 치료자대로 어려움과 한계를 느끼고 환자는 환자대로 혼란스러움과 좌절감을 경험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식이장애 치료에 있어서는 다양한 기법을 사용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수적입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저희가 오랜 시간 동안 다양한 상황에 직면하면서 치열하게 고민하여 얻은 지혜를 바탕으로, 식이장애를 폭넓게 이해하고 동시에 핵심적인 문제를 어떻게 파악하고 해결해 나갈지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합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1년 07월
마음과 마음 식이장애 클리닉
▶ 일정 : 2021년 08월 03일(화), 08월 10일(화), 08월 17일(화)
매주 화요일 오후 7:00 ~ 9:00 (총 3회)
▶ 참여방법 : ZOOM 화상회의 (접속방법은 등록하신 이메일로 공지)
▶ 대상 :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임상 및 상담 심리사, 정신건강 분야 관련 전문가
▶ 강사 : 김준기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마음과 마음 식이장애 클리닉 원장 / 서울 EMDR 트라우마 센터장
▶ 진행 날짜 및 세부 주제
첫째날 2021년 08월 03일 화요일 (김준기)
식이장애의 치료 A ; 식이장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둘째날 2021년 08월 10일 화요일 (김준기)
식이장애의 치료 B ; 식이장애의 인지행동치료와 부모 교육
셋째날 2021년 08월 17일 화요일 (김준기)
식이장애의 치료 C ; 거식과 폭식의 이면( Trauma informed approaches)
첫째날은 식이장애의 진단과 그에 따른 여러 증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식이장애 진단분류에 따라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폭식증, 폭식장애, 다르게 분류되는/분류할 수 없는 급식 및 섭식장애의 진단 기준과 예후, 식이장애의 치료과정 및 약물치료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둘째날은 식이장애의 표면에 드러난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인지행동치료를 중심으로 다루게 됩니다. 식이장애를 위한 인지행동치료의 전반적인 치료원칙, 식사행동 패턴의 확립, 거식/폭식/구토 증상을 다루는 실질적인 개입 방법에 대해 배우며,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한 가족에 대한 개입까지 알아봅니다.
셋째날은 식이장애의 이면에 숨겨진 문제들을 치료하기 위한 통합적인 접근법을 다루게 됩니다.
식이장애의 특징적인 증상인 거식과 폭식의 이면에 숨겨진 환자의 트라우마(ACE; Adverse Childhood Experience)를 이해하고, 식이장애를 Complex PTSD의 관점으로 바라보며,